손동숙 고양시의원
손동숙 고양시의원

[고양일보] 같이 생활한 지 12년을 훌쩍 넘긴 반려견 대복이는 몸이 좋지 않아서 약에 의존하고 산지가 2년째다. 잔병치레를 귀찮아하고 약값을 부담스러워 하기엔 가족이란 감정이 훨씬 더 앞서있어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언젠가는 떠나보내야 하는데 문득문득 걱정된다. 사람과 달리 반려동물의 사후 처리에 대한 것이 일상화되어 있지 않아서 고민한 적이 있었다.

나는 지난 3월 3일 반려동물의 장묘와 관련하여 시정질문을 했다.

고양시는 2017년 ‘동물복지 5개년 종합계획 연구용역’을 시작으로 동물복지 장기계획이 세워지기 시작했으며, 폐쇄적이었던 동물 행정을 개방형으로 전환시키고, 3개 지역에 반려견 놀이터 운영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시정이 점차 동물복지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정말로 다행한 일이다.

하지만 동물장묘시설과 관련하여 시장과 시정질문를 하면서도 느낀 것이지만 아직도 우리들의 관점에는 반려동물을 아끼고 가족으로 받아들이려는 정서는 많이 확대되었지만, 반려동물의 사후에 관한 문제에서는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 정책에서도 동물사후에 관한 처리시설 문제는 언급조차 되고 있지 않는 분위기이다. 그러나 이제는 반드시 논의해야만 하는 시급한 문제라고 판단되어 진다. 매년 입양되는 반려동물 개체 수만 생각을 하고 동물복지를 계획한다면 그것은 반쪽짜리 계획이라 할 것이다.

삶이 있으면 죽음도 있다. 죽음까지도 책임져 주는 게 가족으로서 당연한 도리라고 생각한다.

반려동물은 이제 우리 생활 깊숙이 와 있다. 같이 밥을 먹고, 같이 여행을 가고, 함께 뛰어놀고, 반려동물은 가족과 같은 존재로 인식되어가고 있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도 생명이니 수명이란 게 있다. 인간의 수명은 평균 80세까지이나, 사람들의 시간개념으로 반려동물(개, 고양이)의 수명은 평균 15년 정도 된다.

반려동물이 생을 마감하면 동물장묘시설을 이용하여 처리해야 하지만, 그렇게 하는 경우는 많지 않고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담아서 버리거나 동물병원에 위탁처리를 한다. 여기까지가 준법이며, 많은 사람이 몰래 땅에 묻어서 처리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엄연한 불법이다. 과태료가 있지만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라서 법을 적용하는 경우도 흔하지는 않다.

동물장묘시설은 전국에 사설시설이 총 55개 있으며, 경기도에 21개, 고양시에 1개소가 있다.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곳은 전국에 임실군 1개소 밖에 없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수에 비해서 현실적으로 많이 부족하다는 것이며, 공공기관이 거의 없고, 사설시설이 대다수라는 건 처리비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든다고 할 수 있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모든 가정이 경제적인 형편이 넉넉하지는 않다. 혼자 지내기가 적적하여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기에 경제적인 문제와 항상 비례 하지는 않는다. 반려동물의 사후는 사람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해야 하고, 반려동물과 함께한 사람들은 그것을 원한다. 그래서 사설동물장묘시설이 계속 생겨나고 있다. 반려인은 모든 반려동물이 동물장묘시설에서 사후처리를 하기 바란다. 비용적인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에 사설시설도 있지만 공공동물장묘시설도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동물장묘는 선진 동물복지문화의 일환으로서 동물복지 및 생명존중문화가 기초가 되어야 하는 사회·윤리적 성격을 말한다.

동시에 동물 사체 처리와 관련한 시설 기준의 규정과 장묘시설의 설치 문제로 인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주는 영향 역시 고려해야 하는 종합적인 영역이다. 이 말은 동물복지가 바로 사람의 복지와 연결된다는 것이다.

지금도 전국 각지에서는 동물장묘시설설치와 관련해 대치하고 있는 곳이 많다. 어느 방법이 반드시 옳다고만 고집할 수는 없다. 그리고 어느 한쪽이 이기적이라고 할 수도 없다. 모두가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하려는 방법이기에 최소한의 불편함을 서로가 양보하는 수밖에는 없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고양시장도 공공동물장묘시설설치에 대한 부분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잘못된 판단이라고 할 수는 없다. 비반려인의 삶도 중요하고, 반려인의 삶도 중요하기에 둘 다 고려할 수밖에는 없다.

이제는 우리가 선택해야만 한다. 늘어만 가는 반려동물의 수만큼, 생을 마감하는 수도 그만큼 발생한다. 그들의 사후 처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 우리만이 결정할 수 있다.

저작권자 © 고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