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공촌정수장
인천 공촌정수장

[고양일보]  환경부(장관 조명래)가 최근 인천 지역 수돗물 유충 민원의 원인으로 지목된 활성탄지가 설치된 전국 정수장 49개소에 대해 7월 15일부터 7월 17일까지 긴급점검을 실시한 결과 인천 공촌, 인천 부평, 경기 화성, 김해 삼계, 양산 범어, 울산 회야, 의령 화정 정수장 등 7개 정수장에서 유충이 소량 발견되고, 12개 정수장은 방충망 미설치 등 운영상 문제가 지적되었다. 유충이 발견된 정수장 7곳 가운데 6곳은 활성탄여과지에서 유충이 검출됐다. 이 때문에 정수장 시설을 점검한 관계자들은 관리 부실이 유충 발생의 원인일 것으로 보고 있다.

환경부가 이번에 긴급 점검한 49개 정수장 중에는 건물 창문에 방충망이 아예 없거나 찢어진 경우가 12곳이나 됐다. 14곳은 유입 방지 시설이 미흡하다고 판정받았다.

목재나 톱밥, 야자껍질, 석탄 등을 원료로 만드는 활성탄여과지는 깔따구 등 유충이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이어서 외부 환경과의 차단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활성탄은 유기물질을 흡착하는 성격이 있어 벌레가 물 위에 알을 낳아 활성탄에 가라앉으면 유충이 부화해 유기물질을 먹으며 자라게 된다.

인천 이외의 지역은 활성탄지 표층에서 유충이 발견되었으나 정수장 후단 배수지·수용가에서는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 유충이 발견된 곳은 즉시 활성탄 교체 또는 세척·오존 주입율 상향 등의 조치를 취해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또한, 활성탄지 외에 관로 말단 및 배수지에도 거름망을 설치하여 확인중이나 현재까지 유충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인천시는 깔따구 유충이 입상활성탄지에서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어 우선 입상활성탄 사용을 13일 오후 11시부터 중단하고 표준정수처리공정으로 전환했다. 이미 급수구역에 공급된 물은 이토작업을 통해 배수하고 있으나, 급격히 배수할 경우 관내 퇴적되어 있는 탁질이 부유할 가능성이 있어 완전 정상화는 다소 지연이 예상된다.

환경부(국립생물자원관)는 인천 수돗물 유충의 발생 원인을 정수장 내 활성탄지에서 부화된 유충이 걸러지지 않고 정수장, 배수지를 거쳐 가정까지 공급된 것으로 유전자 분석결과를 통해 지난 18일 밝혀낸 바 있다.  환경부는 공촌과 부평정수장 계통에서의 유충 추가 발생은 차단되었으며, 아직까지 급·배수 관로상에 남아있는 유충만 배출되면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전국의 일반 정수처리장 435개소 역시 7월 17일부터 긴급 전수조사에 들어갔다.

한편, 20일까지 인천 외 타 지역(서울, 부산, 화성, 파주 등)에서도 수돗물에서 벌레 유충이 발견되었다는 민원 총 19건이 언론에 보도되어 지자체와 환경청, 유역수도지원센터 등이 공동으로 현장 조사한 결과, 수돗물 공급 과정에서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파악되었다.  환경부는 서울의 경우 오피스텔 욕실 바닥에서 유충이 발견되었으나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되지는 않았으며, 배수구 등 외적 요인을 통한 발생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판단하였다.

부산의 경우 모기·파리 유충이 발견되었으나 조사 결과 하수구 등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화성, 파주 등 다른 지역 역시 정수장·배수지·저수조 등에서는 유충이 발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바 배수구 등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공촌·부평정수장의 유충 발생의 원인 파악을 위해 인천시와 한강유역환경청이 공동으로 7월 16일「인천 수돗물 유충 관련 전문가 합동정밀조사단」을 구성하여 조사 중에 있으며, 환경부는 조사 결과에 맞추어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위생상의 관리 부분에서는 깔다구 등 생물체가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활성탄지 유입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방충관리(미세방충망, 포집기 설치, 활성탄지 방충덮개 설치 등) 등을 철저히 하고 특히, 서울시 정수장에서 인증 받은 ISO 22000 관련 사항(식품 생산 및 제조 과정 위해 요소 관리 국제표준 규격)도 참고하여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시설적인 문제로 인해 유충이 유출된 것으로 최종 확인되면 전문가들과 논의하여 상수도 설계 기준을 개선하고, 운영 부문에서는 고도정수처리 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활성탄지의 운영관리 세부 사항을 지자체 등에 전파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고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