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일보] ‘북한산성(北漢山城)’ 사진으로 알려진 一松 이재용 작가는 2019 경기예술찾기 일환으로 찾아가는 사진전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진행하고 있다. 찾아가는 사진전 ‘북한산성(北漢山城)’은 18세기 전후로 한 우리나라 성곽축성술을 이해하면서 북한산성을 쌓은 구조를 보여주는 20여 점의 사진작품전으로 북한산성 발굴사업과 종합정비계획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이 시점에서 북한산성의 세계문화유산적 가치를 조명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경사지의 축성법

평지 구간과는 달리 경사지 구간에는 그 기울기에 따라 일정한 높이로 쌓으면서 경사 구배율을 맞추는 구조적인 안정을 갖췄다. 성돌의 모서리 부분을 “ㄴ”자로 홈을 내어 맞춤과 이음으로 견고성을 유지하면서도 줄눈이 45도 기울기로 올라가게 쌓음으로써 계속 아래로 이어지는 성돌의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켜 미끄러지거나 성벽의 배부른 현상과 이탈 현상을 방지하였다.

이곳은 대서문 좌측 아래 계곡탐방로를 진입하는 수문터 우측의 성벽이다. 지금은 좌측의 무너진 부분을 다시 쌓아 수문 방어시설인 돈대와 훼손된 성벽을 복원 정비하였다.

화포 공격에 대한 성벽

18세기 이전의 산성 축성법은 대부분 고구려산성을 이은 장방형 성돌을 사용한 바른층쌓기 구조로써 줄눈이 직선인 품(品)자 형을 띈다. 그러나 조선 숙종대에 이르러 줄눈이 일정한 바른층쌓기 구조를 벗어나 규격이 일정하지 않은 크고 작은 장방형과 정방형 성돌의 모서리 부분을 어깨걸이로 가공하여 맞물림과 짜맞추기 하여 쌓는 축성술의 변화를 보인다.

이는 성돌의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켜 배부름과 이탈 현상을 막고, 또한 경사의 구배율을 맞추기 위해 큰 돌과 작은 돌을 적절히 섞어 쌓으면서 중간중간에 작은 돌을 끼워 넣어 기울기를 맞추었다. 특히, 화포 공격에 취약했던 바른층쌓기 방식에서 벗어난 신공법으로 북한산성의 축성기술은 조선의 최고 수준이었다.

사진작가 一松 이재용
사진작가 一松 이재용

사)한국사진작가협회 고양시지부장
사)한국사진작가협회 민속분과위원
북한산성을 지키고 가꾸는 사람들의 모임(북지모) 회원

2019 경기예술찾기 찾아가는 사진전 <북한산성(北漢山城)>, 고양시 전지역(2019.6.22~)
<숙족의 성, 북한산성 사진전>, 고양시청 갤러리600(2016.4.23.~5.19)
<수풀에 묻혀 있는 북한산성 사진전>, 북한산아트홀(2015.11.13.~19)
<북한산성의 四季> 사진전, 은평구 진관동주민센터(2015.10.17.~27)
사진의 미학전 <북한산성 너를 만나다>, 은평구청(2015.10.5~9)
<삼각산 사진전>, 덕양구청 갤러리 꿈(2015.8.31.~9.11)
<수풀에 묻혀 있는 북한산성 사진전>, 일산동구청 가온갤러리(2015.6.13.~18)

저작권자 © 고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