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일산테크노밸리는 판교 테크노밸리처럼 ‘황금알’을 낳을 수 있을까. 성남시는 판교제1테크노밸리의 성공을 바탕으로 판교창조경제밸리(판교제2테크노밸리), 판교제3테크노밸리를 추진하고 있다. 기업들은 공급용지 가격이 높더라도 시너지를 얻기 위해 ‘판교 행’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  사진 = 판교테크노밸리 홈페이지.
고양 일산테크노밸리는 판교 테크노밸리처럼 ‘황금알’을 낳을 수 있을까. 성남시는 판교제1테크노밸리의 성공을 바탕으로 판교창조경제밸리(판교제2테크노밸리), 판교제3테크노밸리를 추진하고 있다. 기업들은 공급용지 가격이 높더라도 시너지를 얻기 위해 ‘판교 행’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 사진 = 판교테크노밸리 홈페이지.

[고양일보] 고양시가 자족용지 공급 과잉 문제에 대해 뾰족한 해법을 제시하지 않는 한 기업유치가 어렵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고양시에서 자족용지로 마련된 곳은 3기 신도시가 들어서는 창릉지구, 고양 일산테크노밸리 용지, 고양 영상미디어밸리 용지, 대곡역세권사업 용지 등이다.  

우선 창릉지구 813만㎡(약246만평) 중에서 자족용지는 약 135만㎡(약 41만평) 규모다. 고양시는 이 규모를 가처분면적의 40%이며 판교1, 2테크노밸리 약 2.7배 규모라고 전했다. 

고양 일산테크노밸리도 전체 용지 85만0385㎡(약 26만평) 중에서 상업시설용지와 도로‧공원·주차장시설을 제외한 자족용지는 약 36만8125만㎡(약 11만평)에 이른다. 고양 방송영상밸리 역시 70만2030㎡(약 21만평) 중에서 3669세대가 들어설 주택건설용지, 상업시설용지 등을 제외한 자족용지는 약 30만2916㎡(약 9만평) 규모다. 

약 179만㎡ 규모의 대곡역세권사업 지구에서도 어느 정도 규모인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IT·BT 등 첨단지식산업이 들어서기 때문에 자족용지를 따로 마련해 두고 있다.

이처럼 고양시 내에서만 자족용지가 어림잡아 200만㎡(약 60만평)을 초과한다. 이 규모는 창릉 신도시의 4분의 1수준이다. 하지만 여태껏 기업유치 전례가 거의 없는 고양시가 무작정 기업의 수요를 따지지 않고 자족용지 규모만 확대하는 것은 기업 수요 분산 효과 때문에 사업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기업수요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분석 없이 무작정 자족용지를 계획하는 것은 결국 미분양이라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전했다. 

이러한 조짐은 대곡역세권 개발사업에서 이미 드러났다. 당초 고양시와 함께 공동사업자인 경기도시공사는 최근 ‘사업 적극 참여’에서 ‘사업 참여 보류’로 입장을 전환했다. 이유는 창릉 3기 신도시로 인해 주택 수요와 기업수요가 분산되는 등 대곡역 주위의 사업환경 변화를 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양시 밖을 벗어나면 자족용지 과잉은 더욱 분명해진다. 약 1300개 기업이 입주해 약 80조원의 총매출 규모를 창출한 제1판교테크노밸리를 본보기로 경기도의 각 지자체는 저마다 ‘제 2판교’를 구상하고 있다. 고양 일산테크노밸리 외에 경기도에서 추진되는 테크노밸리로는 판교창조경제밸리(판교제2테크노밸리),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구리·남양주 테크노밸리, 양주 테크노밸리 등이다. 하지만 제1판교제1테크노밸리와 차별화 없이 무작정 기업을 끌어들이는 전략은 낭패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경기도의회가 의뢰한 용역 결과물인 ‘경기도 테크노밸리 발전방안 연구’에서는 “경기도의 모든 테크노밸리가 대부분 IT 분야 또는 4차 산업 위주로 계획하고 있다. 국가적 경제전략 편승에 따른 예산확보는 쉬울 것이나, 경기도 전체로서는 모든 지자체가 유사한 분야에 중복투자로 인한 예산낭비 후 과도한 경쟁으로 지역 경제기반 붕괴의 후유증 예상된다”며 지역적 차별성 없는 무분별한 테크노밸리 추진의 위험성을 지적했다.  

이 연구서는 또한 “과도한 중복투자로 인해 피해의 악순환이 되는데 지역간과 기업간 고급인력 탈취현상 가중되고 이는 대량의 부실기업으로 결국 지역경제를 황폐화시키고 결국 지역 경제기반 붕괴로 인한 실직자 급증의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며 “이를 막기 위해서는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중복적 투자를 조정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여기에다 기존 2기 신도시의 자족용지 활용도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정부는 3기 신도시를 통해서도 525만㎡이 넘는 자족용지를 공급하고 있다. 이처럼 기업 수요에 비해 자족용지의 공급은 차고 넘치는 수준이다. 

3기 신도시를 반대하는 한 시민은 “지역에 득이 되는 기업수가 한정된 상황에서 고양시가 다른 지자체, 특히 성남시의 판교와 기업 유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가능성이 그다지 높아 보이지 않는다. 기업이 들어온다고 해도 앵커기업이라고 할 만한 이름 있는 기업이 고양시에 들어올지 의문이다”며 “기업 유치는 어려운 반면 아파트 건설은 쉽기 때문에 자칫 고양시가 기업은 없는 아파트만 늘어난 도시가 될까봐 걱정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