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세기업들로 꾸려진 ‘고양 창릉지구 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27일 고양시청 앞에서 집회를 가졌다. 사진 = 고양 창릉지구 기업비상대책위원회 제공
영세기업들로 꾸려진 ‘고양 창릉지구 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27일 고양시청 앞에서 집회를 가졌다. 사진 = 고양 창릉지구 기업비상대책위원회 제공

[미디어고양파주] 창릉 3기 신도시 지구 내에 있기 때문에 강제수용 대상이 되는 영세기업들이 영업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적절한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 영세기업들로 꾸려진 ‘고양 창릉지구 기업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상대책위’)는 27일 고양시청 앞에서 집회를 가졌다. 

지난 21일 발대식과 총회를 가진 비상대책위에는 고양창릉지구 내 물류업, 제조업, 유통업 등 영세기업이 포함되어 있다. 문해동 기업대책위원장은 “비상대책위는 창릉 지구 내에 소유한 토지에서 사업을 하는 사람과 임대한 토지에서 사업을 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며 “지구 내에서 사업자등록증을 가진 사업자는 약 500명일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비상대책위는 고양창릉지구의 813만㎡(246만평)중 자족시설용지인 135만㎡(41만평)의 일정 부분을 재정착을 위한 용지로 남겨놓을 것을 요구했다. 

문해동 비상대책위 위원장은 “그저 영업보상과 이사비용만 받고 이곳을 떠나라라고 우리에게 요구한다면,  우리는 거부한다. 왜냐하면 그 정도 보상을 받고서는 어디를 둘러봐도 갈 데가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대기업이나 IT기업에게만 용지를 공급할 것이 아니라 원래 이곳에서 사업을 했던 사람들이 재정착할 수 있도록 일정부분의 토지를 공급해달라”고 요구했다.

비상대책위는 고양창릉지구의 813만㎡(246만평)중 자족시설용지인 135만㎡(41만평)의 일정 부분을 재정착을 위한 용지로 남겨놓을 것을 요구했다.
비상대책위는 고양창릉지구의 813만㎡(246만평)중 자족시설용지인 135만㎡(41만평)의 일정 부분을 재정착을 위한 용지로 남겨놓을 것을 요구했다.

비상대책위는 LH가 일방적으로 사업시행을 할 것이 아니라 지구 내 있는 기업들의 재정착 방안에 대해 논의하며 사업시행을 할 것을 요구했다 문해동 위원장은 “똑같이 3기 신도시로 지정된 하남 교산의 경우 지역 정치인들이 힘을 써서 기존 기업들의 재정착 방안 마련에 힘을 쓰고 있는데 고양 창릉에서는 이러한 정치권의 움직임이 없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실제로 LH는 3기 신도시 내 기업인 재정착을 위한 용역을 발주했다. 하지만 이 대상에 창릉 3기 신도시가 아닌 하남 교산, 남양주 왕숙, 인천 계양 등 창릉 3기 신도시보다 6개월 먼저 발표된 3개 신도시만이 해당한다. 용역 공칙 명칭은 ‘공공주택지구 공익성 강화를 위한 포용적 기업이전대책 수립용역’이고 용역 수행기관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다. 

저작권자 © 고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