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오염에 따른 악취 문제로 수년간 문제가 됐던 한류천. 고양시는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한 물을 한류천에 내보내 하천유지용수로 사용하겠다는 안을 최적안으로 채택해 공사설계를 시작하겠다고 전하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고양시 대안이 수질개선효과가 미미하니 하천위를 덮어버리고 그 위에 공원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질오염에 따른 악취 문제로 수년간 문제가 됐던 한류천. 고양시는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한 물을 한류천에 내보내 하천유지용수로 사용하겠다는 안을 최적안으로 채택했다고 전하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고양시 대안이 수질개선효과가 미미하니 하천위를 덮어버리고 그 위에 공원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디어고양파주] 한류천 수질 개선을 위한 고양시 방안에 대해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고양시가 한류천 수질개선을 위해 도출한 최적안은 일산수질복원센터(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한 물을 한류천에 내보내 하천유지용수로 사용하겠다는 안이다. 한류천의 더러운 물을 관을 통해 하류에 있는 일산수질복원센터까지 보내고, 일산수질복원센터에서 한강으로 방류되던 물을 재이용수로 활용해 다른 관을 통해 수변공원 상류로 내보내는 방법으로 결정한 것. 1일 평균 10만 톤의 2급수를 재이용수(처리수)로 사용해 상류로 올려 보내 하류로 흘려 보낸다면 한류천의 수질이 3급수로 맑아진다는 계산이다. 

하지만 고양시 방안은 실질적으로 수질개선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근시안적 방안이라는 문제의식에 부딪혔다. 한류천에는 비오는 날과 관계없이 매일 평균 1만3000톤의 더러운 물이 유입되는 데, 여기에다 질소와 인의 비율이 높은 처리수를 하천유지용수로 한류천에 내보낸다고 해도 수질이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는 비판이다. 김서현 고양시의원은 “질소와 인이 많이 들어있는 처리수를 유속이 거의 없는 한류천에 내보내면 처리수가 햇빛에 노출되어 더 오염된다”고 말했다. 질소와 인을 먹고 자라는 식물플랑크톤이 과다 증식하게 되어 하천의 물이 녹색으로 변질된다는 것이다. 용역 결과에서도 현재수질복원센터에서 한강으로 방류되는 물의 수질은 목표수질과 동떨어져 있다. 질소 함유 목표치가 3.0, 인 함유 목표치가 0.05인데 처리수는 실제 각각 12.12, 0.18을 나타내고 있다.  

애초에 질소와 인의 비율이 높은 처리수이기 때문에 이 처리수를 한류천으로 내보낸다고 하더라도 목표수질을 이루기가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애초에 질소와 인의 비율이 높은 처리수이기 때문에 이 처리수를 한류천으로 내보낸다고 하더라도 목표수질을 이루기가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류천에 적정한 유속이 발생해야 하는데 이것이 가능할지도 의문이다. 고양시 용역 결과에 따르면 하루에 10만톤의 처리수를 한류천 상류로 보냈을 때 1초에 흘러간 유량이 1.16m³(1160ℓ)다. 고양시 담당자는 “용역 결과는 1초에 약 20cm 정도 흐르는 속도”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김서현 의원은 한류천을 덮어버리는 복개방안을 내세우고 있다. 악취나 물 튀김으로 인한 피해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그 위에 공원을 조성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바람직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고양시 방안에 따라 공사를 하면 공사완료 후 들어가는 매년 유지관리비 18억원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고양시 방안으로 공사를 했을 경우 총 279억원(국비 114억원+경기도시공사 78억원+고양시 87억원)의 공사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공사비용을 제외하고 고양시는 공사 완료 후 매년 18억원의 유지관리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김 의원은 한류천이 애초에 ‘하천’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고양시의 ‘배수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복개를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김 의원은 “배수로를 하천이라는 시각으로 보니까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지금까지 247억이라는 매물비용이 들어갔다”며 “지금 와서 매물비용으로 취급하자니 이에 대한 정책판단 오류에 대해 공무원 누군가 책임을 져야 하는데, 이 판단 오류를 공무원들은 못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장기적 관점에서도 고양시 방안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K-컬처밸리 등 고양시 자족시설 한 가운데 수질 개선이 검증되지 않은 하천이 놓여 있는 상황이 되면 고양시로서는 장기적으로 손실을 본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1조4000억 규모의 사업인 K-컬처밸리에다 8500여 세대가 살게 될 아파트 인근의 고양시 노른자 땅 한가운데 하천이 흐르는데 만약 악취난다면 어떻게 책임 질 것이냐”고 말했다. 그는 “그럴 바에야 깔끔하게 복개를 하고 그 위에 공원을 조성해 명소로 만드는 것이 장기적으로 고양시가 실익을 얻는 방안”이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하류천을 복개하는 방안의 가장 큰 걸림돌은 공사비용이다. 한류천 인근에 K-컬처밸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CJ가 수행한 용역결과에 따르면, 복개 후 상부의 조경공사비를 제외하더라도 774억원의 공사비용이 발생하며, 여기에다 공원을 조성하게되면 비용은 948억원이나 발생한다.  

현재 수질을 정화하기 위한 장치를 띄웠음에도 불구하고 한류천의 오염도는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수질을 정화하기 위한 장치를 띄웠음에도 불구하고 한류천의 오염도는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류천 인근에는 1조4000억 규모의 K-컬처밸리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류천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K-컬처밸리 사업이 성공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사업주체인 CJ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한류천 인근에는 1조4000억 규모의 K-컬처밸리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류천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K-컬처밸리 사업이 성공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사업주체인 CJ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그럼에도 한류천 위를 덮어버리는 복개안도 하천을 친환경적으로 살려내는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안이라는 시각도 있다. 또한 한류천을 인공적으로 덮어버리다 보니 자칫 치수 안정성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는 문제도 지적된다. 한류천이 대화배수펌프장의 유수지 역할을 하는 것을 고려하면 만에 하나 폭우가 쏟아져서 일산신도시로 물이 역류하는 사태 앞에서도 손을 쓸 수 없는 상황까지 몰릴 수 있다. 이 상황까지 몰리면 복개한 하천을 다시 개방해야 하는 데, 이 때 더 많은 고양시 예산이 소요될 가능성도 있다. 

한류천 문제는 K-컬처밸리 사업의 적지 않은 변수다. 한류천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K-컬처밸리 사업이 성공하기는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고양시는 복개 공사비용에 대해 K-컬처밸리 사업의 주체인 CJ가 공사비용을 분담하라고 요구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 혹은 한류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전제하에 해당 부지를 CJ에 분양한 경기도에 추가적인 공사비용을 요구할 수도 있다. 고양시 관계자는 “고양시는 도출한 대안만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CJ나 경기도에 비용과 관련해 요구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하천유지용수를 한류천에 내보내는 방안과 한류천을 복개하는 방안 모두 작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기 때문에 제3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고양시의 한 관계자는  "어쩌면 두 개안 모두 졸속 방안일 수 있다"며 "한류천은 후세에 길이 남길 수 있는 고양시 자산인 만큼 충분한 시간을 두고 제3의 대안을 찾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런데 현 시점에서 고양시는 하천유지용수를 한류천에 공급하겠다는 대안대로 진행할 것임을 전했다. 고양시 도시균형개발과 담당자는 “원래 한류천과 주위 부지를 소유했던 경기도가 CJ에게 주위부지를 매각할 때 계약서상 한류천 문제를 해결한다는 전제가 있었는데, 아직 이것이 해결되지 못했다”며 “따라서 원인제공자가 이것을 해결하고 또한 복개했을 때 재해에 대한 안정성, 환경성 등이 보장되어야만 복개를 검토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여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한류천 하류에서는 심한 악취를 발생시키고 있다.
여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한류천 하류에서는 11일 현재 심한 악취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떠있는 부유물질을 보아 오염이 심하다는 것을 대번에 알 수  있다.
저작권자 © 고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